강아지 구충제 암치료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아지 구충제 암치료

‥ 요모조모

by 토파니 2019. 12. 13. 19:53

본문

 

강아지 구충제 암치료

 

 

참 이상합니다. 어머니가 유방암 판정을 받으시고 '암'이라는 글자는 3배 이상 확대되어 보입니다. 어디건 암이라는 글자가 보이면 그곳에 눈이 꽂힙니다.

 

 

식약처 '동물 구충제 펜벤다졸 암환자 먹지 마세요.'

 

아침에 눈을 떠서 핸드폰을 만지다, 황당한 헤드라인에 눈이 꽂혔습니다. 암환자들이 왜 동물 구충제를 먹지? 식약처는 왜 먹지 말라고 하지? 어머니의 암 판정이 없었다면 해프닝으로 여기고 넘겼을 헤드라인입니다. 하지만 요즘 나의 뇌는 암이라는 글자에 꽂혀있어 그냥 넘기지를 못하네요. 결국 펜벤다졸을 검색해서 사태를 파악하기 시작했습니다.

 

강아지 구충제가 동이 났다고 합니다. 미국의 조 티펜스라는 말기 암환자가 펜벤다졸이라는 강아지 구충제를 먹고 암이 완치된 과정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다고 합니다. 이 블로그가 암환자들이 많이 모이는 몇몇 카페에 전해졌고, 국내 말기 암환자들이 실제 복용하고 통증이 멈췄다는 자신의 사례를 다양한 경로로 전파했던 것입니다. 펜벤다졸을 복용하며 스스로를 임상의 대상으로 촬영하여 올린 동영상도 유튜브에서 수없이 검색되었습니다.

온몸에 암세포가 전이되어 수술도 불가능하고, 몸을 버리는 항암치료 외에는 더 이상의 방법이 없는 말기 암환자의 입장에서 지푸라기라도 잡아보고 싶은 심정일 것입니다. 초기 유방암이었는데, 항암치료를 하면서 암이 폐와 뼈까지 전이되어 말기암 환자가 되었다는 한 환자의 인터뷰를 보면서 저도 심장이 벌렁벌렁 가만히 있지 않고, 남 일 같지 않습니다. 오죽하면 강아지 구충제를 먹을까 생각했지요.

 

사람이 강아지 구충제를 먹는다고 하면 웃고 넘길 일처럼 보이지만, 이게 그렇게 웃을 정도의 치료는 아니었습니다. 기생충 약의 성분이 암세포에게 영양분 공급을 차단하여 암세포 스스로 괴사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입니다. 미국의 한 동물 실험실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쥐에게 암세포를 주입하여 실험하던 중 쥐들에게 기생충이 감염된 것입니다. 이 쥐들에게 동물 구충제를 먹였는데, 암세포도 함께 사라졌다고 합니다.

 

암세포 또한 기생충처럼 인간의 장기에 기생하여 당을 공급받는데, 이 당의 공급을 차단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원리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암세포는 에너지 대사 효율이 떨어져서 매우 많은 양의 당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난다는 설명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알약으로 먹는 약이다보니, 위암이나 대장암 같은 소화기 계통의 암에 더 빠르게 효과가 나타날 확율이 높습니다. 암세포에 직접 닿기 때문에 도달율이 높은 것이지요.

 

펜벤다졸은 흔히 알고 있는 강아지 심장사상충 혹은 여러 기생충을 죽이는 약입니다. 강아지 심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괴사시키는 약이지요. 실제로 펜벤다졸은 기생충의 영양공급을 차단하여 강아지를 살립니다. 강아지도 간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들었는데, 사람에게도 간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눈에 띄었습니다. 그래도 권장량의 2000배까지 섭취해도 괜찮은 안전한 약이라고 합니다. 무엇보다 항암치료보다 훨씬 부작용이 작은데 말기암 환자의 입장에서는 해볼 만한 일이지요.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이렇게 좋은 약이면 빨리 항암제로 개발해서 치료제로 사용하면 되지 않냐고 생각하게 되지요. 문제는 기생충의 당 공급을 차단하는 벤드이미다졸 화학 구조의 성분은 이미 특허가 끝났기 때문에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약이 되어버렸습니다. 심지어 처방전도 필요없는 일반의약품입니다. 많은 돈을 투자해서 함암제로 개발한다고 해서 돈을 벌 수가 없는 것이죠. 오히려 기존의 암산업을 붕괴시킬 수 있는 위험한 선택일 것입니다.

 

한쪽에서는 암 산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항암치료가 산업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솔직히 저렴한 기생충약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면 많은 병원이 문을 닫게 될 것은 예상 가능한 일입니다. 반대쪽에서는 이런 입장을 음모론으로 호도하고 표준치료가 생존 확률이 가장 높은 치료법이라고 당당하게 얘기합니다.

 

그런데 생존확률을 병원이 장악하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발표된 생존율도 자세히 뜯어보아야 합니다. 기대 생존율과 관찰생존율을 정확히 파악해보아야 합니다. 충격적인 것은 암 사망률입니다. 나라지표에서 발표한 암 사망자 수는 93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1993년에 비해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3배로 늘었습니다. 연 2만명대이던 암 사망자가 최근 8만명대로 늘었습니다. 70% 이상 생존하는 것처럼 말하는데, 죽는 사람은 더 많이 늘어나고 있는 아이러니한 통계입니다.

 

암 판정을 받으면 병원에서 하라는 대로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환자의 입장이지요. 다른 방식으로 암을 치료한 데이터를 모아서 생존율 통계를 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에 생존율을 방패 삼아 얘기하는 사람들이 야속하게 느껴집니다.

 

대학 때 과학사 수업을 들으며, <과학혁명의 구조>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과학의 발전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지동설과 천동설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믿었던 시절을 상상해보셔요. 기존의 믿음에 반하는 사례가 발견되면 과학계에서는 그것을 오류로 받아들입니다. 그 오류가 쌓이고 쌓여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되었을 때 혁명처럼 새로운 이론이 인정받게 됩니다. 그것을 패러다임의 변화라고도 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이 단순한 사실이 인정되는데 무려 100년이 걸렸습니다. 한 인간의 생애주기보다 길지요. 그래서 혹자는 믿는 사람이 다 죽고 나서야 새로운 패러다임이 받아들여진다는 말도 합니다. 이번 일이 의학계의 발표처럼 해프닝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가 빠르게 교환되면서 패러다임이 바뀌는 과정에 있을 수도 수도 있습니다. 아니 고통받는 암환자들을 생각하면 패러다임이 바뀌는 것이길 바래봅니다. 약 몇 알 먹고, 암을 치료하고 그렇게 암을 예방하면 얼마나 좋습니까? 사람들 건강이 우선이니까요. 병원이 사람 건강을 위해 존해하는 것 아닌가요?

 

물론 저는 기존의 표준치료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유방암환자들은 대부분 표준 치료를 통해서 치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모도 사촌언니도 같은 치료를 받고 지금은 건강합니다. 그것을 옆에서 지켜보았던 어머니에게 표준치료를 거부하시라고 절대로 말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저의 문제가 된다면 다르게 생각해보겠다고 다짐하며, 지금 스스로 임상 실험의 대상이 되어 자가치유 중이신 분들을 응원합니다. 꼭 완치되시길 바랍니다.

 

아침부터 강아지 구충제를 골똘히 공부하고 나니, 어쨌건 몸의 나쁜 박테리아들을 한 번씩 박멸하려면 1년에 한 번은 기생충약을 먹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렇게 약국을 찾아 기생충약을 샀습니다. 평소에 복용할 수 있는 두 알에 천 원짜리 항암제라고 생각하고, 기생충약 두 알을 삼켰습니다. 약을 삼키고 다시 단전에 힘을 넣어봅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